아두이노 혁명과 함께 많은 분들이 아두이노의 가능성을 좀더 넓히려는 시도를 하게되었습니다.그 노력중의 하나가 USB Host 기능을 추가하여 PC와 같이 USB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USB 기기를 연결하여 작동할수 있도록 하는것이었습니다. 이를 지원하는 USB Host Shield 제품이 만들어졌으며, 이를 지원하는 공개 라이브러리가 발전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구글은 Google IO 2011 행사에서 아두이노와 안드로이드기기의 연결을 지원해주는 Open ADK 를 공개하여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기를 다양한 외부 기기(아두이노 연계)와 연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줬습니다. 이때 모태가 된 기술이 바로 아두이노의 USB Host 연동 라이브러리입니다. 이후 공식 아두이노팀은 아두이노에 USB Hos..
양단자를 손으로 꼭 잡으면 켜지는 스위치입니다.놀라운 점은 한사람 뿐 아니라, 수십명이 손을 잡아서 장거리 회로를 구성해도 작동됩니다. 가장 기초적인 트랜지스터 활용예이면서 제법 재밌는 응용을 할수있는 회로입니다. 아래 회로1 상의 콜렉터(C) 점과 R1사이에 LED를 넣어주면 아두이노 없이도 LED를 On/Off 시켜볼수 있습니다. (단, R1은 330옴으로 변경요함) 아두이노에서 활용하려면 아래와 같이 연결하시면 됩니다. 회로1.이 기본회로입니다.A와 B점을 양손으로 잡으면 트랜지스터 Base에 전류가 가해져서 C점의 전압이 강하(Low)하게됩니다. A와 B간에 결합이 없어서 트랜지스터의 Base와 Emitter간의 전류가 흐르지 않게되면 C점의 전압은 거의 5V(High)로 유지됩니다.아날로그입력핀..
본 글을 통해 최근 동영상을 통해 알려드렸던 DIY 전자악기 만드는 법을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하드웨어 제작은 반제품의 쉴드를 아두이노에 결합하고 스위치를 몇개 장착하는게 전부이므로 매우 쉽습니다. 하지만 프로그래밍을 통해 제어를 하려면 MIDI 프로토콜을 이해해야 하는데 인터넷에 공개된 관련 글을 봐도 곧바로 이해하고 활용하기 쉽지 않았습니다. 결국, 정확한 신호 파악을위해 직접 마스터 키보드를 구입하여;; 건반을 누를때, 뗄때, 악기가 변경될때, 기타 콘트롤시 어떤 MIDI 신호가 출력되는지 분석을 한 후에야 대충 이해가 가더군요,, 하지만 많은 분들이 그럴 여유가 없으시죠;;; 우선은 이미 제조사에서 일련의 내장된 악기음을 순서대로 반복해주는 정도의 예제가 있으므로 참고가 되실 겁니다. 하지만,..
RGB LED는 오색 찬란 무지개 색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재료입니다. 하지만 여러개를 사용하기위해서는 회로나 프로그래밍이 복잡해져서 직접 제작하기엔 부담이 큽니다. 이를 위해 지금 소개해 드릴 20개단위로 LED 체인으로 구성된 제품을 사용하면 손쉽게 독립제어되는 다수의 RGB LED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관련제품 사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손쉽게 사용가능하도록 라이브러리와 아두이노 예제 소스가 제공됩니다. 한줄 만 수정하면 그대로 이용 가능합니다. 관련 동영상을 보신 후, 아래의 상세과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이하 사용법 안내 - 라이브러리 설치 방법 1.압축해제후, 2. WS2801.cpp 등의 파일이 들어있는 폴더를 아두이노 설치폴더의 Libraries 폴더에 복사후, 3. 폴..
다양한 MIDI 작곡 프로그램들에서 MIDI 신호 출력을 지원합니다. PC의 경우 SW적인 음원으로 연주하는것도 가능합니다만, MIDI 신호를 PC 외부에 있는 전용 사운드모듈(악기,음원모듈)로 보내서 연주시킬 수 도 있습니다. MIDI 악기 쉴드로 이 신호를 받아서 연주가 되도록 해봤습니다. PC용 SW는 MIDI 파일을 단순 연주해주는 Sweet MIDI Player 프로그램을 사용했습니다. 물론 기타 전문가용 MIDI 작곡 프로그램도 마찬가지로 연결해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출력되는 MIDI 신호는 모두 동일합니다. 아래의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미션임파서블 등 MIDI 신호로 연주 테스트 동영상
보통 마스터 키보드는 음원내장이 되지 않아 자체적으로 연주가 불가하고, 외부 사운드 모듈(SW 또는 HW)이 필요합니다. 고가의 사운드카드의 경우엔 모르겠지만 보통의 메인보드 내장형 사운드 카드로 SW 사운드 음원을 대체하여 사용한경우, 키보드로 연주시 엄청난 딜레이가 있네요... 건반을 누르고 소리가 날때까지 수백mSec 지연은 있는것 같습니다. (제경우 연주용으로 사용이 불가한 수준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MIDI 악기 쉴드에 키보드 MIDI출력 신호를 곧바로 입력시켜 연주를 해본 결과 딜레이를 느낄 수 없었습니다. 고품질의 음원이 필수적이지 않다면 MIDI 악기 쉴드를 외장 악기음원(Sound Module)로 활용하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아래의 관련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TMega 328 칩이 사용되는 아두이노(Arduino)보드에 MIDI 악기 쉴드(MP3/MIDI 지원 VLSI칩 내장)를 결합한 뒤 반나절만에 만든 전자악기입니다. 허접한 모양새와 달리 소리는 제법 쓸만합니다.( 화음까지 지원) 사운드 카테고리에 소개된 MIDI 악기 쉴드 활용 연관 동영상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 제품 링크 아두이노 UNO 아두이노용 MIDI 악기 쉴드 만드는 방법소개 위 동영상에서 보여드렸던 건반악기 제작법과 소스코드를 아래의 링크에서 참고 가능하십니다! DIY 전자악기 만드는법 소개 ( 연결방법 + 소스코드 공개)
공식 아두이노의 최신 표준보드 UNO의 R3버전이 나왔습니다.(2011년 12월) 보통 UNO 하면 마이크로콘트롤러 칩 타입에따라 SMD타입과 DIP타입 두 가지가 있었지만, 이제 형제가 더 많아졌네요, 아직 R3버전의 SMD타입은 공개되지 않은것 같으므로 현재 아래와 같은 3종류의 UNO가 있습니다. UNO R2 DIP형 UNO R2 SMD형 UNO R3 DIP형 []R2와 R3의 차이점 요약 일단, R2나 R3나 주 마이크로콘트롤러는 ATMega328 칩을 사용하므로 프로그래밍 가능용량이나 제어핀의 개수와 사용방법이 모두 동일합니다. 다만, USB 인터페이스칩이 변경되었고 헤더핀의 개수가 3개 추가되었습니다. 그렇다고 기본성능이 업그레이드 된것도 아니어서 기존 R2와 동일하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
이미 소개해 드렸던 촬영된 이미지를 JPEG 포멧으로 압축하여 시리얼통신으로 전송해주는 카메라를 PC와 직접 연결하여 테스트해봤습니다. 시리얼 통신으로 촬영된 데이타를 전송해주므로 시리얼통신을 지원하는 모든 기기에 연결 가능합니다. 게다가 JPEG 이미지 포멧으로 압축하여 전송을 해주므로 저장만 해주면 PC에서도 그대로 확인이 가능해집니다. 본 동영상에서는 USB to 시리얼 변환기를 통해 PC와 연결한 뒤, 기본 제공되는 PC 용 테스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간 이미지 전송과 Single Shot(한장촬영) 기능을 테스트 및 해상도와 전송속도 조절기능도 사용해봤습니다. PC와 연결 구성 PC USB포트 USB 케이블 USB to Serial FTDI 변환기 TTL Serial JPEG Camera 관..
오늘은 울트라 하이테크놀로지의 결합체인 디지탈 카메라를 만들어봤습니다. "정말 피눈물나는 노력을 통해 완성한 나만의 아두이노 호환 똑딱이입니다." 라고 말씀드리면 거짓말이고요, 사실 제가 한 일이라곤 촬영된 이미지를 JPEG 포멧으로 시리얼통신을 통해 전송해주는 카메라와 이값을 수신하여 microSD메모리에 저장해주는 역활을 해주는 JPEG Trigger 아두이노 호환보드를 단순히 조립해주고 버튼한개 달랑 단것이 전부입니다. 아, 그리고 휴대용 카메라의 역활을 다할 수 있도록 3.7V Lipo충전지도 장착해줬습니다. 성능은 최신 카메라에 비길수 없겠지만 그래도 좋은건 센서연동 및 자유로운 제어가 가능한 아두이노 호환형 디지탈 카메라 시스템이라는 점입니다. 시리얼통신 JPEG 카메라가 무엇인가? 시중에서 ..
- Total
- 873,347
- Today
- 6
- Yesterday
- 17
- LED
- Android
- 아두이노
- ftdi
- 안드로이드
- 전자칠판
- 3d
- 로봇
- IRED
- NXP
- Shield
- Cortex-M0
- 적외선펜
- artrobot
- MIDI
- Wii
- 아르두이노
- 쉴드
- wiimote
- 악기
- lilypad
- DIY
- uno
- 제어
- arduino
- robot
- 센서
- LPCXpresso
- ADK
- 아트로봇